
Litter-Robot 4: LitterHopper™ 빠른 시작 가이드
고양이 적응 팁이 포함된 온라인 설정 가이드, 사용자 설명서, 액세서리 설치 가이드에 접근하려면 litter-robot.kr/getting-started 를 방문하세요.
LitterHopper는 Litter-Robot 4의 글로브 내부에서 최적의 모래층 높이를 자동으로 유지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. 기본 최적 모래 높이는 글로브 내부의 MAX 채움선 바로 아래입니다. Litter-Robot 4는 각 청소 주기 종료 시 센서를 통해 모래 높이를 측정합니다. 센서가 모래층이 최적 수준보다 낮다고 판단하면, 다음 청소 주기 중에 LitterHopper가 글로브 안으로 모래를 배출합니다. 이때 배출 중에는 글로브 회전이 잠시 멈출 수 있습니다.
-
올바른 위치에 설치하기
- 가능하다면 기존 고양이 화장실이 있던 자리(적응 기간 동안만이라도)에 Litter-Robot을 설치하세요.
- 로봇은 반드시 실내의 단단하고 평평한 바닥, 시원하고 건조한 장소에 위치해야 합니다. 벽에 닿거나 전선 위에 올려져 있어서는 안 됩니다.
- 유닛 앞쪽에 모래 매트나 러그를 깔아주세요.
-
LitterHopper 전도 방지 가드 설치
- 참고: 고양이가 이미 Litter-Robot 4를 사용하고 있다면, Step 3 이후 글로브를 제거한 다음 다시 설치하세요.
-
유닛에서 배설물 서랍을 제거하세요.
-
유닛을 앞면(베젤)이 아래로 향하게 눕히고, 단단하고 평평한
표면에 올려놓으세요. 단단한 바닥이라면 베젤이 긁히지 않도록
수건이나 담요를 깔아주세요.
-
베이스 뒷면 하단의 두 구멍을 통해 전선이 지나가 있는 것을
확인하세요. 전선을 아래쪽으로 부드럽게 당겨 고정하고, 위쪽에
전도 방지 가드 고리가 완전히 들어갈 공간을 남겨주세요.
-
작은 구멍 근처를 눌러 전도 방지 가드 양쪽이 ‘딸깍’ 하고
고정될 때까지 눌러주세요. 어느 정도 힘이 필요할 수
있습니다.
설치가 완료되면, 전도 방지 가드는 단단히 고정되어 흔들림이 없어야 하며, 베이스와 완전히 밀착되어야 합니다.
-
전원 플러그를 Litter-Robot 4에 연결하기
-
전원 코드를 전도 방지 가드
아래가 아닌 위쪽으로 통과시킨 후 유닛에
전원 플러그를 연결하세요.
- 유닛을 발로 세워 바르게 세워주세요. 전원 코드가 전도 방지 가드 아래에 끼이지 않았는지 확인하세요.
-
전도 방지 가드가 바닥에 닿지 않아야 합니다.
항상 바닥과 전도 방지 가드 아래 사이에는
약간의 틈이 있어야 합니다. 틈이 없다면 다른
바닥을 사용하거나 카펫 트레이 액세서리를 사용하세요.
- 팁: 종이 한 장을 전도 방지 가드 밑으로 밀어 넣어 바닥에 닿는지 확인해보세요.
-
전원 코드를 전도 방지 가드
아래가 아닌 위쪽으로 통과시킨 후 유닛에
전원 플러그를 연결하세요.
-
LitterHopper를 Litter-Robot 4에 부착하기
- LitterHopper 설치를 위해 배설물 서랍을 베이스에 다시 밀어 넣으세요.
-
LitterHopper는 하단의 두 개의 고정 핀과 상단의 고리 탭을
이용해 Litter-Robot 4 뒷면에 부착됩니다.
-
Litter-Robot 4의 베이스 뒷면 힌지 양쪽에는 원형 홈이 있으며,
보닛 뒷면에는 LitterHopper 고리 탭을 위한 슬롯이
있습니다.
-
LitterHopper의 핀을 원형 홈에 맞춘 후 아래로 내려
고정하세요. 고리 탭이 보닛의 슬롯에 제대로 끼워졌는지
확인하세요.
-
모래 넣기
-
덩어리지는 모래 또는 스크린을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작은 구슬
형태의 모래를 사용하세요.
참고: 점토 기반 덩어리지는 모래(clay-clumping litter) 사용을 권장합니다. 반투명 또는 흰색 계열의 모래(주로 크리스탈 모래에서 사용됨)는 모래 수위 및 폐기물 서랍 가득 참 표시기(DFI)의 정확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. -
모래를 글로브 안에 평평하게 펼쳤을 때 MAX 표시선 바로
아래까지 넣으세요 (약 8~10파운드 또는 3.6~4.5kg). 과도하게
넣지 않도록 주의하세요.
-
LitterHopper의 뚜껑을 열고 내부 채움선까지 모래를 채우세요.
뚜껑을 다시 덮고 단단히 고정되었는지 확인하세요.
-
덩어리지는 모래 또는 스크린을 통과할 수 있을 만큼 작은 구슬
형태의 모래를 사용하세요.
-
전원 켜기
-
AC/DC 어댑터를 벽면 콘센트에 연결하세요.
-
컨트롤 패널의 전원 버튼을 누르세요.
- 참고: LitterHopper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Litter-Robot 4를 설정하면, 컨트롤 패널의 불빛이 파란색과 보라색으로 깜빡입니다. LitterHopper가 아직 없다면 LitterHopper 모드를 비활성화해야 합니다. 이를 위해 컨트롤 패널의 Cycle 버튼과 Connect 버튼을 3초간 길게 누르세요.
-
AC/DC 어댑터를 벽면 콘센트에 연결하세요.
-
앱 다운로드
- Whisker 앱을 다운로드하고 온보딩 안내 를 따라 진행하세요.
- 참고: 온보딩이 완료된 후, Whisker 앱의 Litter-Robot 4 홈 화면에 LitterHopper가 "준비됨"으로 표시되면 8단계를 생략해도 됩니다.
-
LitterHopper 활성화
-
컨트롤 패널을 통한 활성화:
Cycle 버튼과 Connect 버튼을 3초간 길게 누르세요. 컨트롤 패널이 흰색으로 깜빡이고, LitterHopper 모터가 1초 동안 회전하면 LitterHopper가 활성화된 것입니다. 이 시점에서 설정이 완료됩니다! Whisker 앱에서 언제든지 LitterHopper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
컨트롤 패널을 통한 활성화:
펌웨어 버전 확인하기
- 모바일 기기에서 Whisker 앱을 엽니다. (아직 유닛을 온보딩하지 않았다면, 온보딩 방법을 먼저 확인하세요.)
- Litter-Robot 4 설정에서 최신 펌웨어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는지 확인하세요. (참고: 앱이 업데이트되면서 화면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)
컨트롤 패널을 통한 활성화:
-
Cycle 버튼과 Connect 버튼을 3초간 길게 누르세요. 컨트롤 패널이
흰색으로 깜빡이고, LitterHopper 모터가 1초 동안 회전하면 LitterHopper가 활성화된 것입니다. 이로써 설정이
완료되었습니다! Whisker 앱에서 언제든지 LitterHopper 상태를 확인할
수 있습니다.
-
컨트롤 패널을 통한 비활성화:
- Cycle 버튼과 Connect 버튼을 3초간 길게 누르세요. 컨트롤 패널이 흰색으로 깜빡이고, 호퍼 모터가 회전하지 않으면 LitterHopper가 비활성화된 것입니다.
- 참고: Cycle 버튼과 Connect 버튼을 여러 번 누르면 활성화/비활성화 상태가 전환됩니다.
-
Whisker 앱을 통한 활성화 및 비활성화:
-
LitterHopper를 처음 연결한 후, 앱 내에서 스위치를 쉽게
전환하여 LitterHopper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
있습니다.
- 참고: Litter-Robot 4에서 LitterHopper를 물리적으로 제거한 경우, 위 방법 중 하나를 사용하여 반드시 비활성화해 주세요.
-
LitterHopper를 처음 연결한 후, 앱 내에서 스위치를 쉽게
전환하여 LitterHopper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
있습니다.
추가 자료:
- Litter-Robot 4: LitterHopper™ 문제 해결 가이드
- Litter-Robot 4: LitterHopper™ 모래가 배출되지 않음
- 파란색과 보라색 점등 오류 해결 (LitterHopper 오류)
- 상태등 코드 안내
- 컨트롤 패널 버튼 기능